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0/전학기 균형 1240002
힐링커뮤니티댄스 (Healing Community Dance)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40002
  • 교과목명 : 힐링커뮤니티댄스 (Healing Community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몸과 지성의 통합을 통하여 인간 본성회복과 의식 확장을 추구한다. 춤으로부터의 상상력을 통한 예술표현으로 개인의 이유와 성장뿐 아니라 공감, 소통능력, 창조성을 깨워 관계를 회복하고 정신 및 신체 건강으로 연결되는 융복합 통합과정이다.

    • English

      From the integration of the body and mind, this course seeks to recover human nature and expand on the level of consciousness. The artistic expression achieved by the imagination in dancing awakens one’s reason for existence, growth, sympathy, communication abilities, and creativity to recover the relationship. This fused and integrated course is also associated with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studen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몸과 지성의 통합을 통하여 인간 본성회복과 의식 확장을 추구한다. 춤으로부터의 상상력을 통한 예술표현으로 개인의 이유와 성장뿐 아니라 공감, 소통능력, 창조성을 깨워 관계를 회복하고 정신 및 신체 건강으로 연결되는 융복합 통합과정이다.

  • English

    From the integration of the body and mind, this course seeks to recover human nature and expand on the level of consciousness. The artistic expression achieved by the imagination in dancing awakens one’s reason for existence, growth, sympathy, communication abilities, and creativity to recover the relationship. This fused and integrated course is also associated with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students.

닫기
0/전학기 균형 1240035
무용의이해 (Understanding of Dance)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40035
  • 교과목명 : 무용의이해 (Understanding of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무용의 개념과 본질을 탐구하고 예술사적 흐름에 따른 무용의 명칭과 분류를 개괄한다. 예술무용의 탄생부터 현대에 이르는 장르별 특성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작품 감상을 통해 한국무용·발레·현대무용의 특징과 범주를 파악한다. 예술무용의 역사와 원리, 그리고 장르간 특징을 익혀 기초적인 예술 소양을 고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nvestigates the concepts and essence of dance and summarizes the titles and classifications of dance according to the flow of art history.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from the birth of dance art to modern times while comprehending the features and categories of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through watching diverse pieces of dance. The aim of this subject is to enhance the basic artistic knowledge of students by discussing the history and principles of dance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dance art genr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무용의 개념과 본질을 탐구하고 예술사적 흐름에 따른 무용의 명칭과 분류를 개괄한다. 예술무용의 탄생부터 현대에 이르는 장르별 특성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작품 감상을 통해 한국무용·발레·현대무용의 특징과 범주를 파악한다. 예술무용의 역사와 원리, 그리고 장르간 특징을 익혀 기초적인 예술 소양을 고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nvestigates the concepts and essence of dance and summarizes the titles and classifications of dance according to the flow of art history. Th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from the birth of dance art to modern times while comprehending the features and categories of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through watching diverse pieces of dance. The aim of this subject is to enhance the basic artistic knowledge of students by discussing the history and principles of dance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dance art genres.

닫기
0/전학기 학문 1410102
문화예술교육개론 (Stud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학문
  • 교과목번호 : 1410102
  • 교과목명 : 문화예술교육개론 (Stud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거시적인 이해를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사의 기본적인 소양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사회적, 교육적 배경을 통하여 교육에서 예술의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basic knowledge about cultural and arts education history based on the macroscopic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cultural and arts education. Through the study of policy, social,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cultural and arts education,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values of art in education along with understanding the idea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rogram from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cours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거시적인 이해를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사의 기본적인 소양을 기르기 위한 과목이다.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사회적, 교육적 배경을 통하여 교육에서 예술의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basic knowledge about cultural and arts education history based on the macroscopic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cultural and arts education. Through the study of policy, social,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cultural and arts education,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values of art in education along with understanding the idea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rogram from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course.

닫기
1/1학기 전필 4251064
한국무용기초1 (Practice Korean Dance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64
  • 교과목명 : 한국무용기초1 (Practice Korean Dan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기본 원리와 특징을 살펴보고 단계적으로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본 동작 및 테크닉을 익히며 집중력, 표현력, 창의력을 길러내는데 목적을 둔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investigate the basic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and teach Korean dance step by step. Th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along with developing concentration, expression, and creativity.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기본 원리와 특징을 살펴보고 단계적으로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본 동작 및 테크닉을 익히며 집중력, 표현력, 창의력을 길러내는데 목적을 둔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investigate the basic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and teach Korean dance step by step. Th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along with developing concentration, expression, and creativity.

닫기
1/1학기 전필 4251065
발레기초1 (Practice Ballet Dance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65
  • 교과목명 : 발레기초1 (Practice Ballet Dan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기본 원리와 특징을 살펴보고 단계적으로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본 동작 및 테크닉을 익히며 집중력, 표현력, 창의력을 길러내는데 목적을 둔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investigate the basic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Ballet and teach Ballet step by step. Th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along with developing concentration, expression, and creativity.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기본 원리와 특징을 살펴보고 단계적으로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본 동작 및 테크닉을 익히며 집중력, 표현력, 창의력을 길러내는데 목적을 둔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investigate the basic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Ballet and teach Ballet step by step. Th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along with developing concentration, expression, and creativity.

닫기
1/1학기 전필 4251066
현대무용기초1 (Practice Modern Dance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66
  • 교과목명 : 현대무용기초1 (Practice Modern Dan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기본 원리와 특징을 살펴보고 단계적으로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본 동작 및 테크닉을 익히며 집중력, 표현력, 창의력을 길러내는데 목적을 둔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investigate the basic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dance and teach Modern Dance step by step. Th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along with developing concentration, expression, and creativity.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기본 원리와 특징을 살펴보고 단계적으로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본 동작 및 테크닉을 익히며 집중력, 표현력, 창의력을 길러내는데 목적을 둔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investigate the basic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dance and teach Modern Dance step by step. Th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along with developing concentration, expression, and creativity.

닫기
1/1학기 전선 4251067
무용개론 (Introduction to Art Dance)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067
  • 교과목명 : 무용개론 (Introduction to Art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무용의 본질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는다. 무용을 개념적으로 정의하는 동시에 무용의 역사, 미학, 비평 등에 대해 개괄적으로 학습한다. 특히 무용의 기초적인 학문이 되는 무용의 역사에 대해서는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한다. 무용에 관한 다양한 이론 분야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하여 차후 구체화된 학습에 도움을 준다.

    • English

      This course helps the students gras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dancing. In addition to defining dancing in a conceptual way, the general concepts of the history, aesthetics, and criticism of music will be taught. Especially, the history of dance will be discussed in-depth to a greater extent as it is the fundamental field of study in dancing.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diverse theories of dancing will help the students study the subjects in more detail in the future.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무용의 본질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는다. 무용을 개념적으로 정의하는 동시에 무용의 역사, 미학, 비평 등에 대해 개괄적으로 학습한다. 특히 무용의 기초적인 학문이 되는 무용의 역사에 대해서는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한다. 무용에 관한 다양한 이론 분야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하여 차후 구체화된 학습에 도움을 준다.

  • English

    This course helps the students gras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dancing. In addition to defining dancing in a conceptual way, the general concepts of the history, aesthetics, and criticism of music will be taught. Especially, the history of dance will be discussed in-depth to a greater extent as it is the fundamental field of study in dancing.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diverse theories of dancing will help the students study the subjects in more detail in the future.

닫기
1/1학기 전선 4251113
무대분장1 (Stage Make up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113
  • 교과목명 : 무대분장1 (Stage Make up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무용공연에 필요한 요소로 춤으로 표현되어 전달되는 이미지를 좀 더 함축적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무용수 자신이 기본적인 분장의 표현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하는데 목표를 둘 수 있다.

    • English

      As an essential part of dance performance, stage makeup aims to express an image from the dancing more implicitly.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train dancers to perform basic makeup for stage.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무용공연에 필요한 요소로 춤으로 표현되어 전달되는 이미지를 좀 더 함축적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무용수 자신이 기본적인 분장의 표현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하는데 목표를 둘 수 있다.

  • English

    As an essential part of dance performance, stage makeup aims to express an image from the dancing more implicitly.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train dancers to perform basic makeup for stage.

닫기
1/1학기 전선 4251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이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룬다.

    • English

      This course allows the students to think over and explore their career within the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 the students will have the time to understand their major, and an overall process of exploring, establishing, and preparing a career goal will be covered.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이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룬다.

  • English

    This course allows the students to think over and explore their career within the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 the students will have the time to understand their major, and an overall process of exploring, establishing, and preparing a career goal will be covered.

닫기
1/1학기 전선 4252032
한국무용1 (Korean Dance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32
  • 교과목명 : 한국무용1 (Korean Dan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기초 원리에 입각한 기본 동작을 익히고 중요 테크닉을 학습하는데에 목적을 둔다. 학습자는 한국무용의 기초 원리를 파악하고 기본 동작, 테크닉의 원리를 스스로 인식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teaching the basic movements and key techniques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Korean dance. The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Korean dance while perceiving and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by themselve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기초 원리에 입각한 기본 동작을 익히고 중요 테크닉을 학습하는데에 목적을 둔다. 학습자는 한국무용의 기초 원리를 파악하고 기본 동작, 테크닉의 원리를 스스로 인식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teaching the basic movements and key techniques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Korean dance. The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Korean dance while perceiving and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by themselves.

닫기
1/1학기 전선 4252093
타악기법 (Practice on Percussion Instruments)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93
  • 교과목명 : 타악기법 (Practice on Percussion Instruments)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장구 장단의 기본 타법과 춤에서 나오는 여러가지 장단을 익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여 시범-분석-따라하기 순으로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nsists of the basic percussion techniques of the janggu beats and diverse rhythms in dance. Theories and practical activities are carried out together, and the course will be processed in the order of the demonstration-analysis-playing.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장구 장단의 기본 타법과 춤에서 나오는 여러가지 장단을 익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여 시범-분석-따라하기 순으로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nsists of the basic percussion techniques of the janggu beats and diverse rhythms in dance. Theories and practical activities are carried out together, and the course will be processed in the order of the demonstration-analysis-playing.

닫기
1/1학기 전선 4252096
한국무용공연실습1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96
  • 교과목명 : 한국무용공연실습1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기본 원리와 이론을 통해 안무 구성 요소를 구체화하고 습득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공연의 기본 구조를 기획해보고,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 단계를 모색하여 계획해본다.

    • English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 and theory of Korean dance,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ctualize and learn elements that comprise choreography. The planning of the basic structure of dance performance will be carried out, and the students will also seek and plan the practical activity processes necessary for the stage performance.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기본 원리와 이론을 통해 안무 구성 요소를 구체화하고 습득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공연의 기본 구조를 기획해보고,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 단계를 모색하여 계획해본다.

  • English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 and theory of Korean dance,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ctualize and learn elements that comprise choreography. The planning of the basic structure of dance performance will be carried out, and the students will also seek and plan the practical activity processes necessary for the stage performance.

닫기
1/1학기 전선 4253032
발레1 (Ballet Dance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32
  • 교과목명 : 발레1 (Ballet Dan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기초 원리에 입각한 기본 동작을 익히고 중요 테크닉을 학습하는데에 목적을 둔다. 학습자는 발레의 기초 원리를 파악하고 기본 동작, 테크닉의 원리를 스스로 인식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teaching the basic movements and key techniques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Ballet. The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Ballet while perceiving and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by themselve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기초 원리에 입각한 기본 동작을 익히고 중요 테크닉을 학습하는데에 목적을 둔다. 학습자는 발레의 기초 원리를 파악하고 기본 동작, 테크닉의 원리를 스스로 인식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teaching the basic movements and key techniques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Ballet. The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Ballet while perceiving and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by themselves.

닫기
1/1학기 전선 4253081
발레공연실습1 (Ballet Performing Practice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81
  • 교과목명 : 발레공연실습1 (Ballet Performing Practi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기본 원리와 이론을 통해 안무 구성 요소를 구체화하고 습득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공연의 기본 구조를 기획해보고,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 단계를 모색하여 계획해본다.

    • English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 and theory of Ballet,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ctualize and learn elements that comprise choreography. The planning of the basic structure of dance performance will be carried out, and the students will also seek and plan the practical activity processes necessary for the stage performance.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기본 원리와 이론을 통해 안무 구성 요소를 구체화하고 습득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공연의 기본 구조를 기획해보고,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 단계를 모색하여 계획해본다.

  • English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 and theory of Ballet,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ctualize and learn elements that comprise choreography. The planning of the basic structure of dance performance will be carried out, and the students will also seek and plan the practical activity processes necessary for the stage performance.

닫기
1/1학기 전선 4254001
현대무용1 (Modern Dance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01
  • 교과목명 : 현대무용1 (Modern Dan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기초 원리에 입각한 기본 동작을 익히고 중요 테크닉을 학습하는데에 목적을 둔다. 학습자는 현대무용의 기초 원리를 파악하고 기본 동작, 테크닉의 원리를 스스로 인식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teaching the basic movements and key techniques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odern dance. The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odern dance while perceiving and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by themselve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기초 원리에 입각한 기본 동작을 익히고 중요 테크닉을 학습하는데에 목적을 둔다. 학습자는 현대무용의 기초 원리를 파악하고 기본 동작, 테크닉의 원리를 스스로 인식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teaching the basic movements and key techniques 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odern dance. The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odern dance while perceiving and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basic movements and techniques by themselves.

닫기
1/1학기 전선 4254078
현대무용공연실습1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1)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78
  • 교과목명 : 현대무용공연실습1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기본 원리와 이론을 통해 안무 구성 요소를 구체화하고 습득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공연의 기본 구조를 기획해보고,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 단계를 모색하여 계획해본다.

    • English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 and theory of Modern dance,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ctualize and learn elements that comprise choreography. The planning of the basic structure of dance performance will be carried out, and the students will also seek and plan the practical activity processes necessary for the stage performance.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기본 원리와 이론을 통해 안무 구성 요소를 구체화하고 습득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공연의 기본 구조를 기획해보고,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 단계를 모색하여 계획해본다.

  • English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 and theory of Modern dance,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ctualize and learn elements that comprise choreography. The planning of the basic structure of dance performance will be carried out, and the students will also seek and plan the practical activity processes necessary for the stage performance.

닫기
1/1학기 전선 4254094
무용음악 (Dance Music)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94
  • 교과목명 : 무용음악 (Dance Music)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음악이 주는 무용의 즐거움을 비롯해 무용이 주는 음악의 상대적 필요성에 대하여 이해시키며 진로의 폭넓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In addition to the joy of dance that comes from music, this course instils an understanding in the relative need for music from dancing. Also, another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ensure that the students have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in career.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음악이 주는 무용의 즐거움을 비롯해 무용이 주는 음악의 상대적 필요성에 대하여 이해시키며 진로의 폭넓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In addition to the joy of dance that comes from music, this course instils an understanding in the relative need for music from dancing. Also, another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ensure that the students have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in career.

닫기
1/2학기 전필 4251068
한국무용기초2 (Practice Korean Dance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68
  • 교과목명 : 한국무용기초2 (Practice Korean Dan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움직임 및 동작을 학습하여 신체의 균형과 발달을 도모한다.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힌다.

    • English

      The study of movements and the motions of Korean dance promotes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in body balance. The course program that involves physical contact enhances the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while improves the range of using the body.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움직임 및 동작을 학습하여 신체의 균형과 발달을 도모한다.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힌다.

  • English

    The study of movements and the motions of Korean dance promotes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in body balance. The course program that involves physical contact enhances the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while improves the range of using the body.

닫기
1/2학기 전필 4251069
발레기초2 (Practice Ballet Dance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69
  • 교과목명 : 발레기초2 (Practice Ballet Dan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움직임 및 동작을 학습하여 신체의 균형과 발달을 도모한다.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힌다.

    • English

      The study of movements and the motions of Ballet promotes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in body balance. The course program that involves physical contact enhances the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while improves the range of using the body.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움직임 및 동작을 학습하여 신체의 균형과 발달을 도모한다.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힌다.

  • English

    The study of movements and the motions of Ballet promotes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in body balance. The course program that involves physical contact enhances the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while improves the range of using the body.

닫기
1/2학기 전필 4251070
현대무용기초2 (Practice Modern Dance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70
  • 교과목명 : 현대무용기초2 (Practice Modern Dan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움직임 및 동작을 학습하여 신체의 균형과 발달을 도모한다.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힌다.

    • English

      The study of movements and the motions of Modern dance promotes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in body balance. The course program that involves physical contact enhances the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while improves the range of using the body.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움직임 및 동작을 학습하여 신체의 균형과 발달을 도모한다.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힌다.

  • English

    The study of movements and the motions of Modern dance promotes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in body balance. The course program that involves physical contact enhances the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while improves the range of using the body.

닫기
1/2학기 전선 4252034
한국무용2 (Korean Dance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34
  • 교과목명 : 한국무용2 (Korean Dan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중요 테크닉과 신체 움직임 훈련 과정을 통해 표현 예술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개인의 신체 특성을 파악한 움직임 수행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 개발을 통한 안무 창작 능력을 증진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 English

      Through the study of the major techniques of Korean dance and body movement training,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is expanded.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centered on improving the movements that are specialized to the different bod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promoting the students’ ability to create choreography through developing a creation technique.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중요 테크닉과 신체 움직임 훈련 과정을 통해 표현 예술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개인의 신체 특성을 파악한 움직임 수행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 개발을 통한 안무 창작 능력을 증진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 English

    Through the study of the major techniques of Korean dance and body movement training,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is expanded.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centered on improving the movements that are specialized to the different bod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promoting the students’ ability to create choreography through developing a creation technique.

닫기
1/2학기 전선 4252097
한국무용공연실습2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97
  • 교과목명 : 한국무용공연실습2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화하는 과정의 실제 단계로 도입한다.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을 경험하고 안무 창작을 통하여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Each element that comprises Korean dance will be actualized. The students will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by experiencing the practical activities of stage performance and creating choreography.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화하는 과정의 실제 단계로 도입한다.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을 경험하고 안무 창작을 통하여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Each element that comprises Korean dance will be actualized. The students will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by experiencing the practical activities of stage performance and creating choreography.

닫기
1/2학기 전선 4252108
한국민속무용1 (Korean Folk Dance1)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108
  • 교과목명 : 한국민속무용1 (Korean Folk Dance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민속의 특수성과 향토의 특색을 갖추고 예부터 전승되어지는 전통무용을 말한다. 민속무용을 통하여 한국무용의 정·중·동 개념적 움직임과 춤사위를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Korean folk dance refers to the traditional dance of Korea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old times as it features the unique and n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 Through folk dance, this course aims to teach conceptual movements and dancing steps under the unique still conditions of Korean dance.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민속의 특수성과 향토의 특색을 갖추고 예부터 전승되어지는 전통무용을 말한다. 민속무용을 통하여 한국무용의 정·중·동 개념적 움직임과 춤사위를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Korean folk dance refers to the traditional dance of Korea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old times as it features the unique and n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 Through folk dance, this course aims to teach conceptual movements and dancing steps under the unique still conditions of Korean dance.

닫기
1/2학기 전선 4253034
발레2 (Ballet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34
  • 교과목명 : 발레2 (Ballet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중요 테크닉과 신체 움직임 훈련 과정을 통해 표현 예술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개인의 신체 특성을 파악한 움직임 수행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 개발을 통한 안무 창작 능력을 증진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 English

      Through the study of the major techniques of Ballet and body movement training,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is expanded.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centered on improving the movements that are specialized to the different bod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promoting the students’ ability to create choreography through developing a creation technique.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중요 테크닉과 신체 움직임 훈련 과정을 통해 표현 예술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개인의 신체 특성을 파악한 움직임 수행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 개발을 통한 안무 창작 능력을 증진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 English

    Through the study of the major techniques of Ballet and body movement training,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is expanded.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centered on improving the movements that are specialized to the different bod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promoting the students’ ability to create choreography through developing a creation technique.

닫기
1/2학기 전선 4253082
발레공연실습2 (Ballet Performing Practice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82
  • 교과목명 : 발레공연실습2 (Ballet Performing Practi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화하는 과정의 실제 단계로 도입한다.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을 경험하고 안무 창작을 통하여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Each element that comprises Ballet will be actualized. The students will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by experiencing the practical activities of stage performance and creating choreography.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화하는 과정의 실제 단계로 도입한다.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을 경험하고 안무 창작을 통하여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Each element that comprises Ballet will be actualized. The students will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by experiencing the practical activities of stage performance and creating choreography.

닫기
1/2학기 전선 4253095
캐릭터댄스 (Character Dance)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95
  • 교과목명 : 캐릭터댄스 (Character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나라 또는 지방의 특징을 나타내는 스텝 및 제스처를 넣어서 추는 춤으로 발레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nhance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ballet performances by learning dancing with unique steps and the gestures of different countries or region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나라 또는 지방의 특징을 나타내는 스텝 및 제스처를 넣어서 추는 춤으로 발레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nhance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ballet performances by learning dancing with unique steps and the gestures of different countries or regions.

닫기
1/2학기 전선 4254002
현대무용2 (Modern Dance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02
  • 교과목명 : 현대무용2 (Modern Dan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중요 테크닉과 신체 움직임 훈련 과정을 통해 표현 예술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개인의 신체 특성을 파악한 움직임 수행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 개발을 통한 안무 창작 능력을 증진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 English

      Through the study of the major techniques of Modern dance and body movement training,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is expanded.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centered on improving the movements that are specialized to the different bod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promoting the students’ ability to create choreography through developing a creation technique.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중요 테크닉과 신체 움직임 훈련 과정을 통해 표현 예술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개인의 신체 특성을 파악한 움직임 수행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 개발을 통한 안무 창작 능력을 증진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 English

    Through the study of the major techniques of Modern dance and body movement training,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is expanded.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centered on improving the movements that are specialized to the different bod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promoting the students’ ability to create choreography through developing a creation technique.

닫기
1/2학기 전선 4254079
현대무용공연실습2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2)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79
  • 교과목명 : 현대무용공연실습2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화하는 과정의 실제 단계로 도입한다.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을 경험하고 안무 창작을 통하여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Each element that comprises Modern dance will be actualized. The students will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by experiencing the practical activities of stage performance and creating choreography.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화하는 과정의 실제 단계로 도입한다. 공연 실습의 실기 활동을 경험하고 안무 창작을 통하여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Each element that comprises Modern dance will be actualized. The students will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by experiencing the practical activities of stage performance and creating choreography.

닫기
2/1학기 전필 4251072
한국무용기초3 (Practice Korean Dance 3)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72
  • 교과목명 : 한국무용기초3 (Practice Korean Dance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다양한 테크닉과 레파토리 학습으로 움직임과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혀 심화된 동작을 수행한다.

    • English

      The study of the diverse techniques and repertories of Korean dance advances the students’ movements. It also improves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and expands on the range of using the body so that the students can perform advanced level motion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다양한 테크닉과 레파토리 학습으로 움직임과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혀 심화된 동작을 수행한다.

  • English

    The study of the diverse techniques and repertories of Korean dance advances the students’ movements. It also improves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and expands on the range of using the body so that the students can perform advanced level motions.

닫기
2/1학기 전필 4251073
발레기초3 (Practice Ballet Dance 3)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73
  • 교과목명 : 발레기초3 (Practice Ballet Dance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다양한 테크닉과 레파토리 학습으로 움직임과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혀 심화된 동작을 수행한다.

    • English

      The study of the diverse techniques and repertories of Ballet advances the students’ movements. It also improves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and expands on the range of using the body so that the students can perform advanced level motion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다양한 테크닉과 레파토리 학습으로 움직임과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혀 심화된 동작을 수행한다.

  • English

    The study of the diverse techniques and repertories of Ballet advances the students’ movements. It also improves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and expands on the range of using the body so that the students can perform advanced level motions.

닫기
2/1학기 전필 4251074
현대무용기초3 (Practice Modern Dance 3)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74
  • 교과목명 : 현대무용기초3 (Practice Modern Dance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다양한 테크닉과 레파토리 학습으로 움직임과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혀 심화된 동작을 수행한다.

    • English

      The study of the diverse techniques and repertories of Modern dance advances the students’ movements. It also improves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and expands on the range of using the body so that the students can perform advanced level motion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다양한 테크닉과 레파토리 학습으로 움직임과 신체접촉을 통한 소통과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활용 범위를 넓혀 심화된 동작을 수행한다.

  • English

    The study of the diverse techniques and repertories of Modern dance advances the students’ movements. It also improves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and perceive objects and expands on the range of using the body so that the students can perform advanced level motions.

닫기
2/1학기 전선 4251104
무용사 (History of Dance)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104
  • 교과목명 : 무용사 (History of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과 외국무용의 흐름을 이해한다. 각각의 대표 무용가와 그들의 작품을 학습한다.

    • English

      Understanding the flow of Korean dance and dance in foreign countries. Representative dancers and their works will be studi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과 외국무용의 흐름을 이해한다. 각각의 대표 무용가와 그들의 작품을 학습한다.

  • English

    Understanding the flow of Korean dance and dance in foreign countries. Representative dancers and their works will be studied.

닫기
2/1학기 전선 4252044
한국무용3 (Korean Dance 3)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44
  • 교과목명 : 한국무용3 (Korean Dance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핵심단계로 표현 예술의 범위 확장과 움직임의 방법론을 개발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정체성을 움직임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에 응용하여 안무 창작 능력 및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As a key stage of Korean dance, this course aims to extend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and develop motion methodology. By apply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t individuals to creative techniques and improving their ability in making movements, this program seeks to enhance the students’ choreography creation and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핵심단계로 표현 예술의 범위 확장과 움직임의 방법론을 개발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정체성을 움직임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에 응용하여 안무 창작 능력 및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As a key stage of Korean dance, this course aims to extend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and develop motion methodology. By apply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t individuals to creative techniques and improving their ability in making movements, this program seeks to enhance the students’ choreography creation and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닫기
2/1학기 전선 4252098
한국무용공연실습3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3)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98
  • 교과목명 : 한국무용공연실습3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움직임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핵심단계이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다원화된 예술성으로 세분화하고 구체화하는 습득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연 작품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directly perform the diverse elements of Korean dance performance through movements. The process of breaking down and actualiz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into pluralized artistry allows the students to learn performance acts in various form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움직임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핵심단계이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다원화된 예술성으로 세분화하고 구체화하는 습득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연 작품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directly perform the diverse elements of Korean dance performance through movements. The process of breaking down and actualiz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into pluralized artistry allows the students to learn performance acts in various forms.

닫기
2/1학기 전필 4252102
한국무용기획·제작및시연1 (Korea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2102
  • 교과목명 : 한국무용기획·제작및시연1 (Korea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의 기획과 제작·시연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단계별로 학습한다.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공연 기획 및 제작에 적용하는 배경 지식을 함양한다.

    • English

      A step-by-step study about the element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performing arts. Based on this, the students will cultivate background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stage planning and production.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의 기획과 제작·시연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단계별로 학습한다.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공연 기획 및 제작에 적용하는 배경 지식을 함양한다.

  • English

    A step-by-step study about the element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performing arts. Based on this, the students will cultivate background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stage planning and production.

닫기
2/1학기 전선 4252109
한국민속무용2 (Korean Folk Dance 2)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109
  • 교과목명 : 한국민속무용2 (Korean Folk Dan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민속의 특수성과 향토의 특색을 갖추고 예부터 전승되어지는 전통무용을 말한다. 민속무용을 통하여 한국무용의 정·중·동 개념적 움직임과 춤사위를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Korean folk dance refers to the traditional dance of Korea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old times as it features the unique and n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 Through folk dance, this course aims to teach conceptual movements and dancing steps under the unique still conditions of Korean dance.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민속의 특수성과 향토의 특색을 갖추고 예부터 전승되어지는 전통무용을 말한다. 민속무용을 통하여 한국무용의 정·중·동 개념적 움직임과 춤사위를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Korean folk dance refers to the traditional dance of Korea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old times as it features the unique and native characteristics of Korea. Through folk dance, this course aims to teach conceptual movements and dancing steps under the unique still conditions of Korean dance.

닫기
2/1학기 전선 4253044
발레3 (Ballet 3)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44
  • 교과목명 : 발레3 (Ballet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핵심단계로 표현 예술의 범위 확장과 움직임의 방법론을 개발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정체성을 움직임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에 응용하여 안무 창작 능력 및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As a key stage of Ballet, this course aims to extend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and develop motion methodology. By apply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t individuals to creative techniques and improving their ability in making movements, this program seeks to enhance the students’ choreography creation and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핵심단계로 표현 예술의 범위 확장과 움직임의 방법론을 개발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정체성을 움직임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에 응용하여 안무 창작 능력 및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As a key stage of Ballet, this course aims to extend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and develop motion methodology. By apply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t individuals to creative techniques and improving their ability in making movements, this program seeks to enhance the students’ choreography creation and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닫기
2/1학기 전선 4253083
발레공연실습3 (Ballet Performing Practice 3)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83
  • 교과목명 : 발레공연실습3 (Ballet Performing Practice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움직임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핵심단계이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다원화된 예술성으로 세분화하고 구체화하는 습득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연 작품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directly perform the diverse elements of Ballet performance through movements. The process of breaking down and actualiz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into pluralized artistry allows the students to learn performance acts in various form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움직임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핵심단계이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다원화된 예술성으로 세분화하고 구체화하는 습득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연 작품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directly perform the diverse elements of Ballet performance through movements. The process of breaking down and actualiz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into pluralized artistry allows the students to learn performance acts in various forms.

닫기
2/1학기 전필 4253088
발레기획·제작및시연1 (Ballet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3088
  • 교과목명 : 발레기획·제작및시연1 (Ballet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의 기획과 제작·시연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단계별로 학습한다.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공연 기획 및 제작에 적용하는 배경 지식을 함양한다.

    • English

      A step-by-step study about the element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performing arts. Based on this, the students will cultivate background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stage planning and production.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의 기획과 제작·시연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단계별로 학습한다.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공연 기획 및 제작에 적용하는 배경 지식을 함양한다.

  • English

    A step-by-step study about the element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performing arts. Based on this, the students will cultivate background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stage planning and production.

닫기
2/1학기 전선 4253093
발레창작 (Practice for Creative Ballet)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93
  • 교과목명 : 발레창작 (Practice for Creative Ballet)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구성요소의 변화에 따라 창작영역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누어보며 단계별 특성을 파악하고 사고를 습득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학습된 사고를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움직임과 창작 능력이 공연 예술 작품에 있어서 동질적인 구상이 가능하도록 학습한다.

    • English

      By dividing the process of creation into different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diverse elements,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and develop thinking abilities. From the learned way of thinking,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pply new forms of movement and creativity to the artworks at the same time.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구성요소의 변화에 따라 창작영역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누어보며 단계별 특성을 파악하고 사고를 습득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학습된 사고를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움직임과 창작 능력이 공연 예술 작품에 있어서 동질적인 구상이 가능하도록 학습한다.

  • English

    By dividing the process of creation into different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diverse elements,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and develop thinking abilities. From the learned way of thinking,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pply new forms of movement and creativity to the artworks at the same time.

닫기
2/1학기 전선 4254003
현대무용3 (Modern Dance 3)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03
  • 교과목명 : 현대무용3 (Modern Dance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핵심단계로 표현 예술의 범위 확장과 움직임의 방법론을 개발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정체성을 움직임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에 응용하여 안무 창작 능력 및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As a key stage of Modern dance, this course aims to extend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and develop motion methodology. By apply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t individuals to creative techniques and improving their ability in making movements, this program seeks to enhance the students’ choreography creation and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핵심단계로 표현 예술의 범위 확장과 움직임의 방법론을 개발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정체성을 움직임 능력 향상 및 창작 기법에 응용하여 안무 창작 능력 및 실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As a key stage of Modern dance, this course aims to extend the range of expressional arts and develop motion methodology. By apply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t individuals to creative techniques and improving their ability in making movements, this program seeks to enhance the students’ choreography creation and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닫기
2/1학기 전선 4254080
현대무용공연실습3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3)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80
  • 교과목명 : 현대무용공연실습3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움직임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핵심단계이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다원화된 예술성으로 세분화하고 구체화하는 습득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연 작품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directly perform the diverse elements of Modern dance performance through movements. The process of breaking down and actualiz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into pluralized artistry allows the students to learn performance acts in various form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움직임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핵심단계이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다원화된 예술성으로 세분화하고 구체화하는 습득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연 작품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directly perform the diverse elements of Modern dance performance through movements. The process of breaking down and actualiz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into pluralized artistry allows the students to learn performance acts in various forms.

닫기
2/1학기 전필 4254085
현대무용기획·제작및시연1 (Moder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4085
  • 교과목명 : 현대무용기획·제작및시연1 (Moder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의 기획과 제작·시연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단계별로 학습한다.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공연 기획 및 제작에 적용하는 배경 지식을 함양한다.

    • English

      A step-by-step study about the element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performing arts. Based on this, the students will cultivate background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stage planning and production.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의 기획과 제작·시연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단계별로 학습한다.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공연 기획 및 제작에 적용하는 배경 지식을 함양한다.

  • English

    A step-by-step study about the element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performing arts. Based on this, the students will cultivate background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stage planning and production.

닫기
2/1학기 전선 4254091
현대무용창작 (Practice for Creative Modern Dance)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91
  • 교과목명 : 현대무용창작 (Practice for Creative Modern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구성요소의 변화에 따라 창작영역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누어보며 단계별 특성을 파악하고 사고를 습득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학습된 사고를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움직임과 창작 능력이 공연 예술 작품에 있어서 동질적인 구상이 가능하도록 학습한다.

    • English

      By dividing the process of creation into different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diverse elements,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and develop thinking abilities. From the learned way of thinking,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pply new forms of movement and creativity to the artworks at the same time.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구성요소의 변화에 따라 창작영역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누어보며 단계별 특성을 파악하고 사고를 습득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학습된 사고를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움직임과 창작 능력이 공연 예술 작품에 있어서 동질적인 구상이 가능하도록 학습한다.

  • English

    By dividing the process of creation into different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diverse elements,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and develop thinking abilities. From the learned way of thinking,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pply new forms of movement and creativity to the artworks at the same time.

닫기
2/2학기 전필 4251076
한국무용기초4 (Practice Korean Dance 4)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76
  • 교과목명 : 한국무용기초4 (Practice Korean Dance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심화과정으로 개인의 테크닉 발달과 창의적인 움직임을 표현하고 창작기능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심화된 즉흥 움직임으로 시·공간, 사물의 표현이 가능하고 한국무용의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발전시킨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Korean dance aims to develop an individual’s techniques and promote the students' ability to express creative movements and perform creative works. The advanced movement in improvisation allows the students to express space, time, and objects and also develops various kinds of artistic elements of Korean dance.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심화과정으로 개인의 테크닉 발달과 창의적인 움직임을 표현하고 창작기능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심화된 즉흥 움직임으로 시·공간, 사물의 표현이 가능하고 한국무용의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발전시킨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Korean dance aims to develop an individual’s techniques and promote the students' ability to express creative movements and perform creative works. The advanced movement in improvisation allows the students to express space, time, and objects and also develops various kinds of artistic elements of Korean dance.

닫기
2/2학기 전필 4251077
발레기초4 (Practice Ballet Dance 4)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77
  • 교과목명 : 발레기초4 (Practice Ballet Dance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심화과정으로 개인의 테크닉 발달과 창의적인 움직임을 표현하고 창작기능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심화된 즉흥 움직임으로 시·공간, 사물의 표현이 가능하고 발레의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발전시킨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Ballet aims to develop an individual’s techniques and promote the students' ability to express creative movements and perform creative works. The advanced movement in improvisation allows the students to express space, time, and objects and also develops various kinds of artistic elements of Ballet.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심화과정으로 개인의 테크닉 발달과 창의적인 움직임을 표현하고 창작기능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심화된 즉흥 움직임으로 시·공간, 사물의 표현이 가능하고 발레의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발전시킨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Ballet aims to develop an individual’s techniques and promote the students' ability to express creative movements and perform creative works. The advanced movement in improvisation allows the students to express space, time, and objects and also develops various kinds of artistic elements of Ballet.

닫기
2/2학기 전필 4251078
현대무용기초4 (Practice Modern Dance 4)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78
  • 교과목명 : 현대무용기초4 (Practice Modern Dance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심화과정으로 개인의 테크닉 발달과 창의적인 움직임을 표현하고 창작기능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심화된 즉흥 움직임으로 시·공간, 사물의 표현이 가능하고 현대무용의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발전시킨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Modern dance aims to develop an individual’s techniques and promote the students' ability to express creative movements and perform creative works. The advanced movement in improvisation allows the students to express space, time, and objects and also develops various kinds of artistic elements of Modern dance.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심화과정으로 개인의 테크닉 발달과 창의적인 움직임을 표현하고 창작기능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심화된 즉흥 움직임으로 시·공간, 사물의 표현이 가능하고 현대무용의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발전시킨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Modern dance aims to develop an individual’s techniques and promote the students' ability to express creative movements and perform creative works. The advanced movement in improvisation allows the students to express space, time, and objects and also develops various kinds of artistic elements of Modern dance.

닫기
2/2학기 전선 4251107
무용의해부생리학 (Anatomical Physiology of Dance)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107
  • 교과목명 : 무용의해부생리학 (Anatomical Physiology of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통합적 관점에서 인체 해부학과 생리학에 대한 기초 지식을 소개한다. 학생들은 인간의 근육계, 골격계, 신경계, 심혈관계, 호흡계, 순환계 및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다. 또한 학생들은 무용수행 중에 골격근, 에너지대사, 산소운반계 및 체온 등에서 일어나는 주요 생리학적 반응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mprehensively introduces basic knowledge about the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The students will study structures and the functions of the human muscular system, skeletal system, nervous system, respiratory system, circulatory system, cardiovascular system, and endocrine system. Also, the students will have a chance to study major physiological reactions that occur in skeletal muscles, energy metabolism, oxygen transportation, and temperature while dancing.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통합적 관점에서 인체 해부학과 생리학에 대한 기초 지식을 소개한다. 학생들은 인간의 근육계, 골격계, 신경계, 심혈관계, 호흡계, 순환계 및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을 학습한다. 또한 학생들은 무용수행 중에 골격근, 에너지대사, 산소운반계 및 체온 등에서 일어나는 주요 생리학적 반응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mprehensively introduces basic knowledge about the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The students will study structures and the functions of the human muscular system, skeletal system, nervous system, respiratory system, circulatory system, cardiovascular system, and endocrine system. Also, the students will have a chance to study major physiological reactions that occur in skeletal muscles, energy metabolism, oxygen transportation, and temperature while dancing.

닫기
2/2학기 전선 4251111
무용교육프로그램개발 (Education Program of Dance)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111
  • 교과목명 : 무용교육프로그램개발 (Education Program of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무용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무용교육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전략을 제시한다. 문화예술 교육 패러다임에 적합한 무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본역량을 기를 수 있다. 교육대상과 교육영역에 따른 효과적인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계획,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지식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Students will be able to come up with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various kinds of da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Basic capabilities will be obtained for developing dance teaching programs that are suitable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aradigm. Also, basic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be fostered that are necessary for direct planning and developing effective dance teaching programs for different trainees and the fields of education.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무용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무용교육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전략을 제시한다. 문화예술 교육 패러다임에 적합한 무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본역량을 기를 수 있다. 교육대상과 교육영역에 따른 효과적인 무용교육프로그램을 직접 계획,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지식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Students will be able to come up with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various kinds of da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Basic capabilities will be obtained for developing dance teaching programs that are suitable for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aradigm. Also, basic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be fostered that are necessary for direct planning and developing effective dance teaching programs for different trainees and the fields of education.

닫기
2/2학기 전선 4251114
무대분장2 (Stage Make up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114
  • 교과목명 : 무대분장2 (Stage Make up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무용공연에 필요한 요소로 춤으로 표현되어 전달되는 이미지를 좀 더 함축적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무용수 자신이 기본적인 분장의 표현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하는데 목표를 둘 수 있다.

    • English

      As an essential part of dance performance, stage makeup aims to express an image from the dancing more implicitly.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train dancers to perform basic makeup for stage.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무용공연에 필요한 요소로 춤으로 표현되어 전달되는 이미지를 좀 더 함축적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무용수 자신이 기본적인 분장의 표현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하는데 목표를 둘 수 있다.

  • English

    As an essential part of dance performance, stage makeup aims to express an image from the dancing more implicitly.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train dancers to perform basic makeup for stage.

닫기
2/2학기 전선 4252053
한국무용4 (Korean Dance 4)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53
  • 교과목명 : 한국무용4 (Korean Dance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심화과정으로 다양한 테크닉을 통한 움직임의 극대화를 이루며, 공연기획과 창작 등의 다양한 요소에 중요점을 두어 실무능력을 향상시킨다. 학습자는 폭 넓은 실기 능력 증진과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사고를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창작 예술 표현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Korean dance maximizes the movements through various kinds of techniques, while improves the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of the students as it places emphasis on diverse factors including performance planning, creative activities, etc. Based on the extensive level of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the creative and unconstrained mind, the students can learn how to express high-quality creative art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심화과정으로 다양한 테크닉을 통한 움직임의 극대화를 이루며, 공연기획과 창작 등의 다양한 요소에 중요점을 두어 실무능력을 향상시킨다. 학습자는 폭 넓은 실기 능력 증진과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사고를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창작 예술 표현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Korean dance maximizes the movements through various kinds of techniques, while improves the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of the students as it places emphasis on diverse factors including performance planning, creative activities, etc. Based on the extensive level of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the creative and unconstrained mind, the students can learn how to express high-quality creative arts.

닫기
2/2학기 전선 4252073
전통무용1 (Traditional Dance 1)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73
  • 교과목명 : 전통무용1 (Traditional Dan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한 무용에는 궁중무용, 민속무용, 가면무용, 의식무용, 창작무용, 신무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종류에 따른 춤사위를 익히고 정·중·동을 기반으로 하는 기분 동작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

    • English

      The types of dancing that ar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classified into royal court dance, folk dance, mask dance, ritual dance, creative dance, and new dance. The students will learn the dancing steps of different types of dance, and also study the method to freely perform basic movements under still condition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한 무용에는 궁중무용, 민속무용, 가면무용, 의식무용, 창작무용, 신무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종류에 따른 춤사위를 익히고 정·중·동을 기반으로 하는 기분 동작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

  • English

    The types of dancing that ar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classified into royal court dance, folk dance, mask dance, ritual dance, creative dance, and new dance. The students will learn the dancing steps of different types of dance, and also study the method to freely perform basic movements under still conditions.

닫기
2/2학기 전선 4252099
한국무용공연실습4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4)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99
  • 교과목명 : 한국무용공연실습4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독창적 활동 전략과 공연 실습 모형의 구성을 다양하게 적용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지님과 동시에 창의적 발상으로 예술성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learn how to apply the composition of creative activity strategies and practical performance models in diverse ways. In addition to study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the students will enhance their artistic value with creative thinking.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독창적 활동 전략과 공연 실습 모형의 구성을 다양하게 적용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지님과 동시에 창의적 발상으로 예술성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learn how to apply the composition of creative activity strategies and practical performance models in diverse ways. In addition to study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the students will enhance their artistic value with creative thinking.

닫기
2/2학기 전필 4252103
한국무용기획·제작및시연2 (Korea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2103
  • 교과목명 : 한국무용기획·제작및시연2 (Korea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 기획의 기본적인 이론적 배경 지식을 토대로 한국무용 공연의 특성에 맞는 기획 과정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과 실기를 겸하여 공연 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계획을 성립해본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he students to learn the planning process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performances based on their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performing arts planning. The detailed program plans will be established regarding performance planning by combin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 기획의 기본적인 이론적 배경 지식을 토대로 한국무용 공연의 특성에 맞는 기획 과정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과 실기를 겸하여 공연 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계획을 성립해본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he students to learn the planning process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performances based on their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performing arts planning. The detailed program plans will be established regarding performance planning by combin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닫기
2/2학기 전선 4253053
발레4 (Ballet 4)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53
  • 교과목명 : 발레4 (Ballet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심화과정으로 다양한 테크닉을 통한 움직임의 극대화를 이루며, 공연기획과 창작 등의 다양한 요소에 중요점을 두어 실무능력을 향상시킨다. 학습자는 폭 넓은 실기 능력 증진과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사고를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창작 예술 표현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Ballet maximizes the movements through various kinds of techniques, while improves the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of the students as it places emphasis on diverse factors including performance planning, creative activities, etc. Based on the extensive level of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the creative and unconstrained mind, the students can learn how to express high-quality creative art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발레의 심화과정으로 다양한 테크닉을 통한 움직임의 극대화를 이루며, 공연기획과 창작 등의 다양한 요소에 중요점을 두어 실무능력을 향상시킨다. 학습자는 폭 넓은 실기 능력 증진과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사고를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창작 예술 표현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Ballet maximizes the movements through various kinds of techniques, while improves the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of the students as it places emphasis on diverse factors including performance planning, creative activities, etc. Based on the extensive level of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the creative and unconstrained mind, the students can learn how to express high-quality creative arts.

닫기
2/2학기 전선 4253077
클래식발레 (Classic Ballet)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77
  • 교과목명 : 클래식발레 (Classic Ballet)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클래식발레 기본동작으로 이루어진 수업으로 바,센터를 기본으로 한 동작 지도가 수반된다.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다양한 음악과 변화되는 박자안에서 다채로운 움직임과 리듬감, 예술적 표현 및 테크닉 수행을 향상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Comprised of the basic movements of classic ballet, this course teaches the movements centered on bars and center.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improve the students’ motions, rhythmic sense, artistic expressions, and technique performance from the repetitive practice, various kinds of music, and altering beat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클래식발레 기본동작으로 이루어진 수업으로 바,센터를 기본으로 한 동작 지도가 수반된다.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다양한 음악과 변화되는 박자안에서 다채로운 움직임과 리듬감, 예술적 표현 및 테크닉 수행을 향상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Comprised of the basic movements of classic ballet, this course teaches the movements centered on bars and center.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improve the students’ motions, rhythmic sense, artistic expressions, and technique performance from the repetitive practice, various kinds of music, and altering beats.

닫기
2/2학기 전선 4253084
발레공연실습4 (Ballet Performing Practice 4)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84
  • 교과목명 : 발레공연실습4 (Ballet Performing Practice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독창적 활동 전략과 공연 실습 모형의 구성을 다양하게 적용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지님과 동시에 창의적 발상으로 예술성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learn how to apply the composition of creative activity strategies and practical performance models in diverse ways. In addition to study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the students will enhance their artistic value with creative thinking.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독창적 활동 전략과 공연 실습 모형의 구성을 다양하게 적용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지님과 동시에 창의적 발상으로 예술성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learn how to apply the composition of creative activity strategies and practical performance models in diverse ways. In addition to study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the students will enhance their artistic value with creative thinking.

닫기
2/2학기 전필 4253089
발레기획·제작및시연2 (Ballet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3089
  • 교과목명 : 발레기획·제작및시연2 (Ballet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 기획의 기본적인 이론적 배경 지식을 토대로 발레 공연의 특성에 맞는 기획 과정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과 실기를 겸하여 공연 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계획을 성립해본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he students to learn the planning process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Ballet performances based on their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performing arts planning. The detailed program plans will be established regarding performance planning by combin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 기획의 기본적인 이론적 배경 지식을 토대로 발레 공연의 특성에 맞는 기획 과정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과 실기를 겸하여 공연 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계획을 성립해본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he students to learn the planning process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Ballet performances based on their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performing arts planning. The detailed program plans will be established regarding performance planning by combin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닫기
2/2학기 전선 4254053
현대무용4 (Modern Dance 4)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53
  • 교과목명 : 현대무용4 (Modern Dance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심화과정으로 다양한 테크닉을 통한 움직임의 극대화를 이루며, 공연기획과 창작 등의 다양한 요소에 중요점을 두어 실무능력을 향상시킨다. 학습자는 폭 넓은 실기 능력 증진과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사고를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창작 예술 표현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Modern dance maximizes the movements through various kinds of techniques, while improves the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of the students as it places emphasis on diverse factors including performance planning, creative activities, etc. Based on the extensive level of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the creative and unconstrained mind, the students can learn how to express high-quality creative art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의 심화과정으로 다양한 테크닉을 통한 움직임의 극대화를 이루며, 공연기획과 창작 등의 다양한 요소에 중요점을 두어 실무능력을 향상시킨다. 학습자는 폭 넓은 실기 능력 증진과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사고를 기반으로 완성도 높은 창작 예술 표현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advanced-level Modern dance maximizes the movements through various kinds of techniques, while improves the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of the students as it places emphasis on diverse factors including performance planning, creative activities, etc. Based on the extensive level of practical performance abilities, the creative and unconstrained mind, the students can learn how to express high-quality creative arts.

닫기
2/2학기 전선 4254081
현대무용공연실습4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4)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81
  • 교과목명 : 현대무용공연실습4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독창적 활동 전략과 공연 실습 모형의 구성을 다양하게 적용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지님과 동시에 창의적 발상으로 예술성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learn how to apply the composition of creative activity strategies and practical performance models in diverse ways. In addition to study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the students will enhance their artistic value with creative thinking.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독창적 활동 전략과 공연 실습 모형의 구성을 다양하게 적용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무용 공연의 기본 구조를 지님과 동시에 창의적 발상으로 예술성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learn how to apply the composition of creative activity strategies and practical performance models in diverse ways. In addition to studying the basic structures of dance performance, the students will enhance their artistic value with creative thinking.

닫기
2/2학기 전필 4254086
현대무용기획·제작및시연2 (Moder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4086
  • 교과목명 : 현대무용기획·제작및시연2 (Moder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 기획의 기본적인 이론적 배경 지식을 토대로 현대무용 공연의 특성에 맞는 기획 과정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과 실기를 겸하여 공연 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계획을 성립해본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he students to learn the planning process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dance performances based on their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performing arts planning. The detailed program plans will be established regarding performance planning by combin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공연 예술 기획의 기본적인 이론적 배경 지식을 토대로 현대무용 공연의 특성에 맞는 기획 과정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과 실기를 겸하여 공연 제작에 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계획을 성립해본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he students to learn the planning process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dance performances based on their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performing arts planning. The detailed program plans will be established regarding performance planning by combin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닫기
3/1학기 전선 4251054
무용비교론 (Theory of Comparative Danc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054
  • 교과목명 : 무용비교론 (Theory of Comparative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무용비교론은 무용 장르간 혹은 원작과 재안무·패러디 작품간 비교를 통해 무용의 본질을 인식하고 새로운 가치를 얻는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수업은 크게 장르간 무용비교와 작품간 비교 두 가지 줄기로 이루어진다. 각 주제별로 팀을 이루어 매시간 목표로 하는 분량의 조사와 글쓰기를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recognize the essence of dancing and obtain the new values of dancing through comparing the different genres of dance or between the original dancing and recreated or parody dancing. The dance comparisons will be mainly performed between the genres and between choreography. For each theme, the students will be divided into the teams to conduct a certain amount of research and writing.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무용비교론은 무용 장르간 혹은 원작과 재안무·패러디 작품간 비교를 통해 무용의 본질을 인식하고 새로운 가치를 얻는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수업은 크게 장르간 무용비교와 작품간 비교 두 가지 줄기로 이루어진다. 각 주제별로 팀을 이루어 매시간 목표로 하는 분량의 조사와 글쓰기를 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recognize the essence of dancing and obtain the new values of dancing through comparing the different genres of dance or between the original dancing and recreated or parody dancing. The dance comparisons will be mainly performed between the genres and between choreography. For each theme, the students will be divided into the teams to conduct a certain amount of research and writing.

닫기
3/1학기 전선 4251093
무용교육론 (Theory in Teaching Danc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093
  • 교과목명 : 무용교육론 (Theory in Teaching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예술교육으로서 무용의 학습내용, 학습설계, 교수-학습방법 및 학습지도안 작성에 대한 기초 지식과 원리를 소개한다.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학교무용의 교육목표, 학교급별 학습내용 설계, 그리고 학습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학습한다. 또한 학생들은 효과적인 무용수업을 위한 학습지도안 작성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As a part of arts education, basic dancing knowledge and the principles of its learning content, learning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teaching plan guidelines will be introduced. From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study the basic ideas and principles about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school dance, designing the learning content for different classes of school, and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promoting academic motivation. Moreover, they will learn how to write a teaching plan for effective dance education.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예술교육으로서 무용의 학습내용, 학습설계, 교수-학습방법 및 학습지도안 작성에 대한 기초 지식과 원리를 소개한다. 이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학교무용의 교육목표, 학교급별 학습내용 설계, 그리고 학습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학습한다. 또한 학생들은 효과적인 무용수업을 위한 학습지도안 작성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As a part of arts education, basic dancing knowledge and the principles of its learning content, learning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teaching plan guidelines will be introduced. From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study the basic ideas and principles about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school dance, designing the learning content for different classes of school, and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promoting academic motivation. Moreover, they will learn how to write a teaching plan for effective dance education.

닫기
3/1학기 전선 4251115
바디컨디셔닝1 (Body Conditioning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115
  • 교과목명 : 바디컨디셔닝1 (Body Conditioning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필라테스 기초 해부학과 기능학을 통하여 신체의 인지력을 높힌다. 매트를 이용한 Exercise를 기반으로 유연성과 근력, 지구력, 근지구력을 향상시켜 신체 발란스를 높이는데 목표가 있다.

    • English

      Students will improve their ability to perceive body parts through the basic anatomy and function of Pilates. Based on exercising using a mat, this course aims to advance body balance by enhancing the flexibility, physical strength, endurance, and muscular endurance.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필라테스 기초 해부학과 기능학을 통하여 신체의 인지력을 높힌다. 매트를 이용한 Exercise를 기반으로 유연성과 근력, 지구력, 근지구력을 향상시켜 신체 발란스를 높이는데 목표가 있다.

  • English

    Students will improve their ability to perceive body parts through the basic anatomy and function of Pilates. Based on exercising using a mat, this course aims to advance body balance by enhancing the flexibility, physical strength, endurance, and muscular endurance.

닫기
3/1학기 전선 4252075
한국무용레파토리1 (Korean Dance Repertory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75
  • 교과목명 : 한국무용레파토리1 (Korean Dance Reper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기본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레파토리를 재연해보는 실습을 통해 움직임을 재창조 할 수 있는 응용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analyzing the pieces of dance, the students will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mposition of dancing and choreography. Also, practical activities that re-enact the repertories will improve their application ability to recreate the movement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기본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레파토리를 재연해보는 실습을 통해 움직임을 재창조 할 수 있는 응용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analyzing the pieces of dance, the students will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mposition of dancing and choreography. Also, practical activities that re-enact the repertories will improve their application ability to recreate the movements.

닫기
3/1학기 전선 4252076
전통무용2 (Traditional Dance 2)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76
  • 교과목명 : 전통무용2 (Traditional Dan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한 무용에는 궁중무용, 민속무용, 가면무용, 의식무용, 창작무용, 신무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종류에 따른 춤사위를 익히고 정·중·동을 기반으로 하는 기분 동작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

    • English

      The types of dancing that ar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classified into royal court dance, folk dance, mask dance, ritual dance, creative dance, and new dance. The students will learn the dancing steps of different types of dance, and also study the method to freely perform basic movements under still condition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한 무용에는 궁중무용, 민속무용, 가면무용, 의식무용, 창작무용, 신무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종류에 따른 춤사위를 익히고 정·중·동을 기반으로 하는 기분 동작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

  • English

    The types of dancing that ar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classified into royal court dance, folk dance, mask dance, ritual dance, creative dance, and new dance. The students will learn the dancing steps of different types of dance, and also study the method to freely perform basic movements under still conditions.

닫기
3/1학기 전선 4252100
한국무용공연실습5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5)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100
  • 교과목명 : 한국무용공연실습5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5)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의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 예술로 결합시키는 제작 실습 및 재창조하는 학습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다양한 무대 현장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 English

      Individuals can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while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various stage sites through practical production where they combine and recreate the pluralized artistic values of Korean dance into performing art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의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 예술로 결합시키는 제작 실습 및 재창조하는 학습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다양한 무대 현장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 English

    Individuals can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while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various stage sites through practical production where they combine and recreate the pluralized artistic values of Korean dance into performing arts.

닫기
3/1학기 전필 4252104
한국무용기획·제작및시연3 (Korea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3)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2104
  • 교과목명 : 한국무용기획·제작및시연3 (Korea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 제작 과정을 시연에 이르기까지 구체화하는 핵심단계이다. 수정, 보완을 통하여 제작물의 질적 향상 과정을 학습하고 제작 과정에 직접 참여를 통하여 공연 현장을 이해하고 직·간접적으로 경험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actualize the Korean dance stage production up to the demonstration process.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ctivitie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 work, and the direct participa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will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performance site and experience stag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 제작 과정을 시연에 이르기까지 구체화하는 핵심단계이다. 수정, 보완을 통하여 제작물의 질적 향상 과정을 학습하고 제작 과정에 직접 참여를 통하여 공연 현장을 이해하고 직·간접적으로 경험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actualize the Korean dance stage production up to the demonstration process.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ctivitie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 work, and the direct participa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will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performance site and experience stag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닫기
3/1학기 전선 4253064
발레레파토리1 (Ballet Repertory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64
  • 교과목명 : 발레레파토리1 (Ballet Reper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기본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레파토리를 재연해보는 실습을 통해 움직임을 재창조 할 수 있는 응용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analyzing the pieces of dance, the students will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mposition of dancing and choreography. Also, practical activities that re-enact the repertories will improve their application ability to recreate the movement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기본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레파토리를 재연해보는 실습을 통해 움직임을 재창조 할 수 있는 응용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analyzing the pieces of dance, the students will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mposition of dancing and choreography. Also, practical activities that re-enact the repertories will improve their application ability to recreate the movements.

닫기
3/1학기 전선 4253085
발레공연실습5 (Ballet Performing Practice 5)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85
  • 교과목명 : 발레공연실습5 (Ballet Performing Practice 5)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실습의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 예술로 결합시키는 제작 실습 및 재창조하는 학습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다양한 무대 현장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 English

      Individuals can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while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various stage sites through practical production where they combine and recreate the pluralized artistic values of Ballet into performing art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실습의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 예술로 결합시키는 제작 실습 및 재창조하는 학습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다양한 무대 현장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 English

    Individuals can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while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various stage sites through practical production where they combine and recreate the pluralized artistic values of Ballet into performing arts.

닫기
3/1학기 전필 4253090
발레기획·제작및시연3 (Ballet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3)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3090
  • 교과목명 : 발레기획·제작및시연3 (Ballet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 제작 과정을 시연에 이르기까지 구체화하는 핵심단계이다. 수정, 보완을 통하여 제작물의 질적 향상 과정을 학습하고 제작 과정에 직접 참여를 통하여 공연 현장을 이해하고 직·간접적으로 경험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actualize the Ballet stage production up to the demonstration process.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ctivitie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 work, and the direct participa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will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performance site and experience stag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 제작 과정을 시연에 이르기까지 구체화하는 핵심단계이다. 수정, 보완을 통하여 제작물의 질적 향상 과정을 학습하고 제작 과정에 직접 참여를 통하여 공연 현장을 이해하고 직·간접적으로 경험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actualize the Ballet stage production up to the demonstration process.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ctivitie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 work, and the direct participa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will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performance site and experience stag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닫기
3/1학기 전선 4254064
현대무용레파토리1 (Modern Dance Repertory 1)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64
  • 교과목명 : 현대무용레파토리1 (Modern Dance Reperto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기본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레파토리를 재연해보는 실습을 통해 움직임을 재창조 할 수 있는 응용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analyzing the pieces of dance, the students will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mposition of dancing and choreography. Also, practical activities that re-enact the repertories will improve their application ability to recreate the movement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기본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레파토리를 재연해보는 실습을 통해 움직임을 재창조 할 수 있는 응용력을 증진시킨다.

  • English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analyzing the pieces of dance, the students will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mposition of dancing and choreography. Also, practical activities that re-enact the repertories will improve their application ability to recreate the movements.

닫기
3/1학기 전선 4254082
현대무용공연실습5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5)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82
  • 교과목명 : 현대무용공연실습5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5)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의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 예술로 결합시키는 제작 실습 및 재창조하는 학습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다양한 무대 현장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 English

      Individuals can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while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various stage sites through practical production where they combine and recreate the pluralized artistic values of Modern dance into performing art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의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 예술로 결합시키는 제작 실습 및 재창조하는 학습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다양한 무대 현장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 English

    Individuals can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while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various stage sites through practical production where they combine and recreate the pluralized artistic values of Modern dance into performing arts.

닫기
3/1학기 전필 4254087
현대무용기획·제작및시연3 (Moder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3)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4087
  • 교과목명 : 현대무용기획·제작및시연3 (Moder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3)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 제작 과정을 시연에 이르기까지 구체화하는 핵심단계이다. 수정, 보완을 통하여 제작물의 질적 향상 과정을 학습하고 제작 과정에 직접 참여를 통하여 공연 현장을 이해하고 직·간접적으로 경험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actualize the Modern dance stage production up to the demonstration process.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ctivitie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 work, and the direct participa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will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performance site and experience stag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 제작 과정을 시연에 이르기까지 구체화하는 핵심단계이다. 수정, 보완을 통하여 제작물의 질적 향상 과정을 학습하고 제작 과정에 직접 참여를 통하여 공연 현장을 이해하고 직·간접적으로 경험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key stage where the students actualize the Modern dance stage production up to the demonstration process.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ctivitie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 work, and the direct participa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will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performance site and experience stag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닫기
3/1학기 전선 4254092
재즈댄스 (Jazz Danc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92
  • 교과목명 : 재즈댄스 (Jazz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움직임 응용 및 개발을 통해 기초에서 심화단계까지 다양한 레파토리 수업을 진행하여 다방면의 신체 움직임을 경험할 수 있다. 안무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신체 움직임 활용의 활동 범위 확장과 새로운 표현 양식을 학습하는데 목적을 둔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allow the students to experience body movements in many different ways through the course content that covers elementary to advanced level repertories through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body motions. The process of creating choreography will guide the students to expand the range of applying body movements and learn new forms of expression.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움직임 응용 및 개발을 통해 기초에서 심화단계까지 다양한 레파토리 수업을 진행하여 다방면의 신체 움직임을 경험할 수 있다. 안무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신체 움직임 활용의 활동 범위 확장과 새로운 표현 양식을 학습하는데 목적을 둔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allow the students to experience body movements in many different ways through the course content that covers elementary to advanced level repertories through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body motions. The process of creating choreography will guide the students to expand the range of applying body movements and learn new forms of expression.

닫기
3/2학기 전선 4251081
무대제작법 (Produce for Stag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081
  • 교과목명 : 무대제작법 (Produce for Stag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무용수와 무대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무대와 무용수와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무대제작과 공연제작을 통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무대를 연출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and dancer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dancers and stage mechanism. Together with stage and performance production, they will learn the methods to organize diversified and new stage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무용수와 무대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무대와 무용수와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무대제작과 공연제작을 통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무대를 연출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and dancer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dancers and stage mechanism. Together with stage and performance production, they will learn the methods to organize diversified and new stages.

닫기
3/2학기 전필 4251086
무대연출론 (Production Management)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1086
  • 교과목명 : 무대연출론 (Production Manage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연출의 기본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연출작업의 과정과 체계를 고찰한다. 이러한 내용을 연계 하여 인체 예술이자 현장예술로서 지녀야 하는 무용연출의 특수성을 살펴보고 무용연출의 의의와 필요성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하여 연구한다.

    • English

      Based on the fundamental concept and principle of direction, this course discusses the process and system of stage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this concep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dance stage management as body art and field art, significance, necessity, and the effects of dance production will be further studi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연출의 기본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연출작업의 과정과 체계를 고찰한다. 이러한 내용을 연계 하여 인체 예술이자 현장예술로서 지녀야 하는 무용연출의 특수성을 살펴보고 무용연출의 의의와 필요성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하여 연구한다.

  • English

    Based on the fundamental concept and principle of direction, this course discusses the process and system of stage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this concep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dance stage management as body art and field art, significance, necessity, and the effects of dance production will be further studied.

닫기
3/2학기 전선 4251116
바디컨디셔닝2 (Body Conditioning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116
  • 교과목명 : 바디컨디셔닝2 (Body Conditioning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필라테스 기초 해부학과 기능학을 통하여 신체의 인지력을 높힌다. 매트를 이용한 Exercise를 기반으로 유연성과 근력, 지구력, 근지구력을 향상시켜 신체 발란스를 높이는데 목표가 있다.

    • English

      Students will improve their ability to perceive body parts through the basic anatomy and function of Pilates. Based on exercising using a mat, this course aims to advance body balance by enhancing the flexibility, physical strength, endurance, and muscular endurance.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필라테스 기초 해부학과 기능학을 통하여 신체의 인지력을 높힌다. 매트를 이용한 Exercise를 기반으로 유연성과 근력, 지구력, 근지구력을 향상시켜 신체 발란스를 높이는데 목표가 있다.

  • English

    Students will improve their ability to perceive body parts through the basic anatomy and function of Pilates. Based on exercising using a mat, this course aims to advance body balance by enhancing the flexibility, physical strength, endurance, and muscular endurance.

닫기
3/2학기 전선 4251117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117
  • 교과목명 :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3/2학기 전선 4252078
한국무용레파토리2 (Korean Dance Repertory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78
  • 교과목명 : 한국무용레파토리2 (Korean Dance Reper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작품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재연해본다. 작품 양상 및 예술적 요소를 응용하여 새롭게 창작해보며 안무 창작의 과정을 경험하도록 학습시킨다.

    • English

      Learning and re-enacting the pieces of dance and choreography. A new creation of dance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aspects and artistic elements of original pieces so that the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choreography creation.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작품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재연해본다. 작품 양상 및 예술적 요소를 응용하여 새롭게 창작해보며 안무 창작의 과정을 경험하도록 학습시킨다.

  • English

    Learning and re-enacting the pieces of dance and choreography. A new creation of dance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aspects and artistic elements of original pieces so that the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choreography creation.

닫기
3/2학기 전선 4252081
한국무용워크숍1 (Workshop for Korean Dance 1)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81
  • 교과목명 : 한국무용워크숍1 (Workshop for Korean Dan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내재하고 있는 다방면의 예술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의 능력 향상시킨다. 무대공연 기법에 예술적 역량과 안무능력을 신장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창의적인 개발을 통하여 각 영역에서 개인의 실무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

    • English

      This course enhanc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bilities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can actualize the artistic values present in Korean dance on many sid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workshop is to develop artistic competence and the choreography of the students on top of their stage performance techniques. Realizing creative developments will effectively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in different field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내재하고 있는 다방면의 예술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의 능력 향상시킨다. 무대공연 기법에 예술적 역량과 안무능력을 신장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창의적인 개발을 통하여 각 영역에서 개인의 실무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

  • English

    This course enhanc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bilities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can actualize the artistic values present in Korean dance on many sid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workshop is to develop artistic competence and the choreography of the students on top of their stage performance techniques. Realizing creative developments will effectively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in different fields.

닫기
3/2학기 전선 4252101
한국무용공연실습6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6)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101
  • 교과목명 : 한국무용공연실습6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6)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개발하여 프로그램화 하고 공연을 제작하는 실습 과정이다. 각 영역에 다각적인 접근으로 다양한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 심화단계이다.

    • English

      This practical course develops the various elements of Korean dance performance for programming and to produce performances. It is an advanced-level program that allows the students to experience many different stages of each field in a diversified approach.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개발하여 프로그램화 하고 공연을 제작하는 실습 과정이다. 각 영역에 다각적인 접근으로 다양한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 심화단계이다.

  • English

    This practical course develops the various elements of Korean dance performance for programming and to produce performances. It is an advanced-level program that allows the students to experience many different stages of each field in a diversified approach.

닫기
3/2학기 전필 4252105
한국무용기획·제작및시연4 (Korea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4)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2105
  • 교과목명 : 한국무용기획·제작및시연4 (Korea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 제작 시연의 심화단계이다. 기획에서 제작, 시연단계 까지의 과정에서 예술적, 기술적인 요소에 총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개인의 실무 능력을 높인다.

    • English

      This course is the advanced level of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Korean dance performance. Individuals will enhance their practical abilities as they’re involved in the overall artistic and technical elements from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the stage.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 제작 시연의 심화단계이다. 기획에서 제작, 시연단계 까지의 과정에서 예술적, 기술적인 요소에 총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개인의 실무 능력을 높인다.

  • English

    This course is the advanced level of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Korean dance performance. Individuals will enhance their practical abilities as they’re involved in the overall artistic and technical elements from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the stage.

닫기
3/2학기 전선 4253066
발레레파토리2 (Ballet Repertory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66
  • 교과목명 : 발레레파토리2 (Ballet Reper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작품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재연해본다. 작품 양상 및 예술적 요소를 응용하여 새롭게 창작해보며 안무 창작의 과정을 경험하도록 학습시킨다.

    • English

      Learning and re-enacting the pieces of dance and choreography. A new creation of dance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aspects and artistic elements of original pieces so that the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choreography creation.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작품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재연해본다. 작품 양상 및 예술적 요소를 응용하여 새롭게 창작해보며 안무 창작의 과정을 경험하도록 학습시킨다.

  • English

    Learning and re-enacting the pieces of dance and choreography. A new creation of dance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aspects and artistic elements of original pieces so that the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choreography creation.

닫기
3/2학기 전선 4253069
발레워크숍1 (Workshop for Ballet 1)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69
  • 교과목명 : 발레워크숍1 (Workshop for Ballet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가 내재하고 있는 다방면의 예술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의 능력 향상시킨다. 무대공연 기법에 예술적 역량과 안무능력을 신장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창의적인 개발을 통하여 각 영역에서 개인의 실무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

    • English

      This course enhanc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bilities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can actualize the artistic values present in Ballet on many sid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workshop is to develop artistic competence and the choreography of the students on top of their stage performance techniques. Realizing creative developments will effectively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in different field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발레가 내재하고 있는 다방면의 예술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의 능력 향상시킨다. 무대공연 기법에 예술적 역량과 안무능력을 신장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창의적인 개발을 통하여 각 영역에서 개인의 실무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

  • English

    This course enhanc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bilities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can actualize the artistic values present in Ballet on many sid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workshop is to develop artistic competence and the choreography of the students on top of their stage performance techniques. Realizing creative developments will effectively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in different fields.

닫기
3/2학기 전선 4253086
발레공연실습6 (Ballet Performing Practice 6)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86
  • 교과목명 : 발레공연실습6 (Ballet Performing Practice 6)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개발하여 프로그램화 하고 공연을 제작하는 실습 과정이다. 각 영역에 다각적인 접근으로 다양한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 심화단계이다.

    • English

      This practical course develops the various elements of Ballet performance for programming and to produce performances. It is an advanced-level program that allows the students to experience many different stages of each field in a diversified approach.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개발하여 프로그램화 하고 공연을 제작하는 실습 과정이다. 각 영역에 다각적인 접근으로 다양한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 심화단계이다.

  • English

    This practical course develops the various elements of Ballet performance for programming and to produce performances. It is an advanced-level program that allows the students to experience many different stages of each field in a diversified approach.

닫기
3/2학기 전필 4253091
발레기획·제작및시연4 (Ballet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4)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3091
  • 교과목명 : 발레기획·제작및시연4 (Ballet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 제작 시연의 심화단계이다. 기획에서 제작, 시연단계 까지의 과정에서 예술적, 기술적인 요소에 총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개인의 실무 능력을 높인다.

    • English

      This course is the advanced level of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Ballet performance. Individuals will enhance their practical abilities as they’re involved in the overall artistic and technical elements from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the stage.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 제작 시연의 심화단계이다. 기획에서 제작, 시연단계 까지의 과정에서 예술적, 기술적인 요소에 총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개인의 실무 능력을 높인다.

  • English

    This course is the advanced level of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Ballet performance. Individuals will enhance their practical abilities as they’re involved in the overall artistic and technical elements from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the stage.

닫기
3/2학기 전선 4254066
현대무용레파토리2 (Modern Dance Repertory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66
  • 교과목명 : 현대무용레파토리2 (Modern Dance Reperto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작품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재연해본다. 작품 양상 및 예술적 요소를 응용하여 새롭게 창작해보며 안무 창작의 과정을 경험하도록 학습시킨다.

    • English

      Learning and re-enacting the pieces of dance and choreography. A new creation of dance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aspects and artistic elements of original pieces so that the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choreography creation.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작품 구성과 안무법을 습득하고 재연해본다. 작품 양상 및 예술적 요소를 응용하여 새롭게 창작해보며 안무 창작의 과정을 경험하도록 학습시킨다.

  • English

    Learning and re-enacting the pieces of dance and choreography. A new creation of dance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aspects and artistic elements of original pieces so that the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choreography creation.

닫기
3/2학기 전선 4254069
현대무용워크숍1 (Workshop for Modern Dance 1)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69
  • 교과목명 : 현대무용워크숍1 (Workshop for Modern Dance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이 내재하고 있는 다방면의 예술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의 능력 향상시킨다. 무대공연 기법에 예술적 역량과 안무능력을 신장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창의적인 개발을 통하여 각 영역에서 개인의 실무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

    • English

      This course enhanc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bilities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can actualize the artistic values present in Modern Dance on many sid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workshop is to develop artistic competence and the choreography of the students on top of their stage performance techniques. Realizing creative developments will effectively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in different fields.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이 내재하고 있는 다방면의 예술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의 능력 향상시킨다. 무대공연 기법에 예술적 역량과 안무능력을 신장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창의적인 개발을 통하여 각 영역에서 개인의 실무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

  • English

    This course enhanc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bilities of the students so that they can actualize the artistic values present in Modern Dance on many sid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workshop is to develop artistic competence and the choreography of the students on top of their stage performance techniques. Realizing creative developments will effectively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in different fields.

닫기
3/2학기 전선 4254083
현대무용공연실습6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6)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83
  • 교과목명 : 현대무용공연실습6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6)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개발하여 프로그램화 하고 공연을 제작하는 실습 과정이다. 각 영역에 다각적인 접근으로 다양한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 심화단계이다.

    • English

      This practical course develops the various elements of Modern dance performance for programming and to produce performances. It is an advanced-level program that allows the students to experience many different stages of each field in a diversified approach.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개발하여 프로그램화 하고 공연을 제작하는 실습 과정이다. 각 영역에 다각적인 접근으로 다양한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 심화단계이다.

  • English

    This practical course develops the various elements of Modern dance performance for programming and to produce performances. It is an advanced-level program that allows the students to experience many different stages of each field in a diversified approach.

닫기
3/2학기 전필 4254088
현대무용기획·제작및시연4 (Moder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4)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4088
  • 교과목명 : 현대무용기획·제작및시연4 (Moder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4)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 제작 시연의 심화단계이다. 기획에서 제작, 시연단계 까지의 과정에서 예술적, 기술적인 요소에 총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개인의 실무 능력을 높인다.

    • English

      This course is the advanced level of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Modern dance performance. Individuals will enhance their practical abilities as they’re involved in the overall artistic and technical elements from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the stage.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 제작 시연의 심화단계이다. 기획에서 제작, 시연단계 까지의 과정에서 예술적, 기술적인 요소에 총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개인의 실무 능력을 높인다.

  • English

    This course is the advanced level of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Modern dance performance. Individuals will enhance their practical abilities as they’re involved in the overall artistic and technical elements from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of the stage.

닫기
4/1학기 전선 4251110
무용교수학습방법 (Study on the Methods of Teaching-learning Danc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110
  • 교과목명 : 무용교수학습방법 (Study on the Methods of Teaching-learning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효과적인 무용교육 학습을 위한 준비, 계획, 실행, 평가 등의 교육내용을 포함한다.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과정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무용수업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무용수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창의적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여 무용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ncludes preparation, planning, practical actions, evaluations, and other educational content for the effective studying of dance teaching. Based on the conditions and process of how teaching and learning are achieved,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will be discussed, and the students should be able to present a suitable dance teaching plan. To achieve such as effective dance class, creative teaching and a learning course plan must be created and applied to the actual dance art teaching.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효과적인 무용교육 학습을 위한 준비, 계획, 실행, 평가 등의 교육내용을 포함한다.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과정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무용수업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무용수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창의적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여 무용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ncludes preparation, planning, practical actions, evaluations, and other educational content for the effective studying of dance teaching. Based on the conditions and process of how teaching and learning are achieved,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will be discussed, and the students should be able to present a suitable dance teaching plan. To achieve such as effective dance class, creative teaching and a learning course plan must be created and applied to the actual dance art teaching.

닫기
4/1학기 전선 4252084
한국무용워크숍2 (Workshop for Korean Dance 2)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84
  • 교과목명 : 한국무용워크숍2 (Workshop for Korean Dan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지닌 예술적 사조 및 요소의 구체화를 위해 이론과 실기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학습자는 과정을 수행하며 한국무용의 다양한 실무 능력을 효과적으로 익힌다.

    • English

      The students will study the process of resolving extensive problems based on theories and the practical activities for the actualization of artistic trends and elements of Korean dance. While going through the program,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learn diverse practical abilities related to Korean dance.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의 지닌 예술적 사조 및 요소의 구체화를 위해 이론과 실기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학습자는 과정을 수행하며 한국무용의 다양한 실무 능력을 효과적으로 익힌다.

  • English

    The students will study the process of resolving extensive problems based on theories and the practical activities for the actualization of artistic trends and elements of Korean dance. While going through the program,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learn diverse practical abilities related to Korean dance.

닫기
4/1학기 전필 4252106
한국무용기획·제작및시연5 (Korea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5)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2106
  • 교과목명 : 한국무용기획·제작및시연5 (Korea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5)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시·공간적으로 밀접한 교육환경을 만들어 통합된 공연 예술 작품으로 정립시킬 수 있으며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시연 단계에서 능동적인 표현방식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stablish an integrated work of performing arts through the cre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related to space and time, and the students will learn the active modes of expression at the demonstration stage.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시·공간적으로 밀접한 교육환경을 만들어 통합된 공연 예술 작품으로 정립시킬 수 있으며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시연 단계에서 능동적인 표현방식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stablish an integrated work of performing arts through the cre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related to space and time, and the students will learn the active modes of expression at the demonstration stage.

닫기
4/1학기 전선 4252107
한국무용창작 (Practice for Creative Korean Danc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107
  • 교과목명 : 한국무용창작 (Practice for Creative Korean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구성요소의 변화에 따라 창작영역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누어보며 단계별 특성을 파악하고 사고를 습득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학습된 사고를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움직임과 창작 능력이 공연 예술 작품에 있어서 동질적인 구상이 가능하도록 학습한다.

    • English

      By dividing the process of creation into different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diverse elements,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and develop thinking abilities. From the learned way of thinking,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pply new forms of movement and creativity to the artworks at the same time.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구성요소의 변화에 따라 창작영역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누어보며 단계별 특성을 파악하고 사고를 습득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학습된 사고를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움직임과 창작 능력이 공연 예술 작품에 있어서 동질적인 구상이 가능하도록 학습한다.

  • English

    By dividing the process of creation into different st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diverse elements,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and develop thinking abilities. From the learned way of thinking, the students will study how to apply new forms of movement and creativity to the artworks at the same time.

닫기
4/1학기 전선 4253071
발레워크숍2 (Workshop for Ballet 2)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71
  • 교과목명 : 발레워크숍2 (Workshop for Ballet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가 지닌 예술적 사조 및 요소의 구체화를 위해 이론과 실기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학습자는 과정을 수행하며 발레의 다양한 실무 능력을 효과적으로 익힌다.

    • English

      The students will study the process of resolving extensive problems based on theories and the practical activities for the actualization of artistic trends and elements of Ballet . While going through the program,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learn diverse practical abilities related to Ballet .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발레가 지닌 예술적 사조 및 요소의 구체화를 위해 이론과 실기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학습자는 과정을 수행하며 발레의 다양한 실무 능력을 효과적으로 익힌다.

  • English

    The students will study the process of resolving extensive problems based on theories and the practical activities for the actualization of artistic trends and elements of Ballet . While going through the program,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learn diverse practical abilities related to Ballet .

닫기
4/1학기 전필 4253074
발레기획·제작및시연5 (Ballet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5)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3074
  • 교과목명 : 발레기획·제작및시연5 (Ballet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5)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시·공간적으로 밀접한 교육환경을 만들어 통합된 공연 예술 작품으로 정립시킬 수 있으며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시연 단계에서 능동적인 표현방식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stablish integrated performing arts by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closely related to space and time. Based on this, the students should be able to learn an active way of forming expressions on the demonstration stage.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시·공간적으로 밀접한 교육환경을 만들어 통합된 공연 예술 작품으로 정립시킬 수 있으며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시연 단계에서 능동적인 표현방식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stablish integrated performing arts by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closely related to space and time. Based on this, the students should be able to learn an active way of forming expressions on the demonstration stage.

닫기
4/1학기 전선 4253094
발레안무법 (Ballet Choreograph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94
  • 교과목명 : 발레안무법 (Ballet Choreograph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안무법의 이론과 실제를 적용하여 작품의 안무요소에 관하여 고찰해본다. 움직임의 해석, 창의성에 대한 개념을 탐색하고 안무의 재배치와 구성에 따른 다양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choreographic elements of a work by applying various theories and practices of choreography. Exploring the concepts of movement interpretation and creativity, and to seek diversity by re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choreography.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안무법의 이론과 실제를 적용하여 작품의 안무요소에 관하여 고찰해본다. 움직임의 해석, 창의성에 대한 개념을 탐색하고 안무의 재배치와 구성에 따른 다양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choreographic elements of a work by applying various theories and practices of choreography. Exploring the concepts of movement interpretation and creativity, and to seek diversity by re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choreography.

닫기
4/1학기 전선 4254071
현대무용워크숍2 (Workshop for Modern Dance 2)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71
  • 교과목명 : 현대무용워크숍2 (Workshop for Modern Dance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이 지닌 예술적 사조 및 요소의 구체화를 위해 이론과 실기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학습자는 과정을 수행하며 현대무용의 다양한 실무 능력을 효과적으로 익힌다.

    • English

      The students will study the process of resolving extensive problems based on theories and the practical activities for the actualization of artistic trends and elements of Modern Dance . While going through the program,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learn diverse practical abilities related to Modern Dance .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이 지닌 예술적 사조 및 요소의 구체화를 위해 이론과 실기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학습자는 과정을 수행하며 현대무용의 다양한 실무 능력을 효과적으로 익힌다.

  • English

    The students will study the process of resolving extensive problems based on theories and the practical activities for the actualization of artistic trends and elements of Modern Dance . While going through the program,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learn diverse practical abilities related to Modern Dance .

닫기
4/1학기 전필 4254089
현대무용기획·제작및시연5 (Moder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5)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54089
  • 교과목명 : 현대무용기획·제작및시연5 (Modern Dance Planning, Production and Preview 5)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시·공간적으로 밀접한 교육환경을 만들어 통합된 공연 예술 작품으로 정립시킬 수 있으며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시연 단계에서 능동적인 표현방식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stablish an integrated work of performing arts through the cre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related to space and time, and the students will learn the active modes of expression at the demonstration stage.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시·공간적으로 밀접한 교육환경을 만들어 통합된 공연 예술 작품으로 정립시킬 수 있으며 학습자는 이를 기반으로 시연 단계에서 능동적인 표현방식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establish an integrated work of performing arts through the creation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related to space and time, and the students will learn the active modes of expression at the demonstration stage.

닫기
4/1학기 전선 4254090
현대무용안무법 (Modern Dance Choreograph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90
  • 교과목명 : 현대무용안무법 (Modern Dance Choreograph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안무법의 이론과 실제를 적용하여 작품의 안무요소에 관하여 고찰해본다. 움직임의 해석, 창의성에 대한 개념을 탐색하고 안무의 재배치와 구성에 따른 다양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choreographic elements of a work by applying various theories and practices of choreography. Exploring the concepts of movement interpretation and creativity, and to seek diversity by re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choreography.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안무법의 이론과 실제를 적용하여 작품의 안무요소에 관하여 고찰해본다. 움직임의 해석, 창의성에 대한 개념을 탐색하고 안무의 재배치와 구성에 따른 다양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choreographic elements of a work by applying various theories and practices of choreography. Exploring the concepts of movement interpretation and creativity, and to seek diversity by re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choreography.

닫기
4/2학기 전선 4251083
무용예술론 (History of Art)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083
  • 교과목명 : 무용예술론 (History of Art)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무용예술론은 무용이 어떻게 예술로서 기능하고 형성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무용의 본질을 이해하고 가치를 드러내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당시의 예술 사조적 특징과 그것이 발생된 시대적 배경을 파악하고 그러한 예술 사조가 발생한 철학적 인식의 변화까지 탐색한다.

    • English

      Art Theory of Dance aims to introduce the essence and value of dance by discussing how dancing functions and is developed as a form of art. The curriculum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art trends in the past,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changes in philosophical perception in which the art trend was generated from.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무용예술론은 무용이 어떻게 예술로서 기능하고 형성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무용의 본질을 이해하고 가치를 드러내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당시의 예술 사조적 특징과 그것이 발생된 시대적 배경을 파악하고 그러한 예술 사조가 발생한 철학적 인식의 변화까지 탐색한다.

  • English

    Art Theory of Dance aims to introduce the essence and value of dance by discussing how dancing functions and is developed as a form of art. The curriculum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art trends in the past,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changes in philosophical perception in which the art trend was generated from.

닫기
4/2학기 전선 4251112
문화예술교육현장의이해와실습 (Culture and Arts Education On-site Training to Understand)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1112
  • 교과목명 : 문화예술교육현장의이해와실습 (Culture and Arts Education On-site Training to Understand)
  • 학점-강의-실습(설계) : 2-1-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문화예술현장 활동에 필요한 기초 역량을 학습하여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핵심인력으로 전문성을 강화시켜 현장에서의 가치를 확산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다양한 현장에 맞춘 지식의 습득과 실습을 통해 실무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주제에 맞는 특화된 연수 프로그램을 계획해봄으로써 자신의 역량을 향상 할 수 있는 기회를 학습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promote creative and professional students as they study the basic capabilities that are essential for conducting cultural and arts activities. Also, it aims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he students so their value as core humanpower in the field can be expanded on. By obtaining and practicing knowledge for different fields, students will have the time to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in the field and study the opportunities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as they plan training programs that are specialized to a certain topic.

    닫기
2 1 2 상세보기
  • 국문

    문화예술현장 활동에 필요한 기초 역량을 학습하여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핵심인력으로 전문성을 강화시켜 현장에서의 가치를 확산시키는데에 목적을 둔다. 다양한 현장에 맞춘 지식의 습득과 실습을 통해 실무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주제에 맞는 특화된 연수 프로그램을 계획해봄으로써 자신의 역량을 향상 할 수 있는 기회를 학습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promote creative and professional students as they study the basic capabilities that are essential for conducting cultural and arts activities. Also, it aims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he students so their value as core humanpower in the field can be expanded on. By obtaining and practicing knowledge for different fields, students will have the time to improve their practical abilities in the field and study the opportunities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as they plan training programs that are specialized to a certain topic.

닫기
4/2학기 전선 4252092
한국무용졸업작품실습 (Graduation Production Practice for Korean Danc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092
  • 교과목명 : 한국무용졸업작품실습 (Graduation Production Practice for Korean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 기획에서 제작, 실연 단계까지 스스로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공연 예술 작품으로서 자신의 창작 작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활동 능력을 향상시킨다.

    • English

      The convergence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processes for the Korean dance stage by students themselves as they go through all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will improve their abilities to complete their creative work as performing art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 기획에서 제작, 실연 단계까지 스스로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공연 예술 작품으로서 자신의 창작 작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활동 능력을 향상시킨다.

  • English

    The convergence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processes for the Korean dance stage by students themselves as they go through all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will improve their abilities to complete their creative work as performing arts.

닫기
4/2학기 전선 4252110
한국무용공연실습7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7)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2110
  • 교과목명 : 한국무용공연실습7 (Korean Dance Performing Practice 7)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의 실제이다.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으로 결합시키는 제작 과정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폭넓은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는 실제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공연 예술을 구성하고 프로그램화하는데 다양한 접근법을 개발한다.

    • English

      The constructive practices of Korean dance performances. From the production process where the students combine pluralized artistic value into performances, this course aims to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and make them experience diverse stages. The students will develop various kinds of approaches for organizing and programming new performing arts by implementing practical approache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한국무용 공연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의 실제이다.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으로 결합시키는 제작 과정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폭넓은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는 실제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공연 예술을 구성하고 프로그램화하는데 다양한 접근법을 개발한다.

  • English

    The constructive practices of Korean dance performances. From the production process where the students combine pluralized artistic value into performances, this course aims to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and make them experience diverse stages. The students will develop various kinds of approaches for organizing and programming new performing arts by implementing practical approaches.

닫기
4/2학기 전선 4253075
발레졸업작품실습 (Graduation Production Practice for Ballet)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75
  • 교과목명 : 발레졸업작품실습 (Graduation Production Practice for Balle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 기획에서 제작, 실연 단계까지 스스로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공연 예술 작품으로서 자신의 창작 작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활동 능력을 향상시킨다.

    • English

      The convergence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processes for the Ballet stage by students themselves as they go through all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will improve their abilities to complete their creative work as performing art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 기획에서 제작, 실연 단계까지 스스로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공연 예술 작품으로서 자신의 창작 작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활동 능력을 향상시킨다.

  • English

    The convergence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processes for the Ballet stage by students themselves as they go through all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will improve their abilities to complete their creative work as performing arts.

닫기
4/2학기 전선 4253087
발레공연실습7 (Ballet Performing Practice 7)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3087
  • 교과목명 : 발레공연실습7 (Ballet Performing Practice 7)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의 실제이다.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으로 결합시키는 제작 과정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폭넓은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는 실제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공연 예술을 구성하고 프로그램화하는데 다양한 접근법을 개발한다.

    • English

      The constructive practices of Ballet performances. From the production process where the students combine pluralized artistic value into performances, this course aims to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and make them experience diverse stages. The students will develop various kinds of approaches for organizing and programming new performing arts by implementing practical approache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발레 공연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의 실제이다.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으로 결합시키는 제작 과정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폭넓은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는 실제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공연 예술을 구성하고 프로그램화하는데 다양한 접근법을 개발한다.

  • English

    The constructive practices of Ballet performances. From the production process where the students combine pluralized artistic value into performances, this course aims to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and make them experience diverse stages. The students will develop various kinds of approaches for organizing and programming new performing arts by implementing practical approaches.

닫기
4/2학기 전선 4254075
현대무용졸업작품실습 (Graduation Production Practice for Modern Danc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75
  • 교과목명 : 현대무용졸업작품실습 (Graduation Production Practice for Modern Da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 기획에서 제작, 실연 단계까지 스스로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공연 예술 작품으로서 자신의 창작 작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활동 능력을 향상시킨다.

    • English

      The convergence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processes for the Modern dance stage by students themselves as they go through all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will improve their abilities to complete their creative work as performing art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 기획에서 제작, 실연 단계까지 스스로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공연 예술 작품으로서 자신의 창작 작품을 완성할 수 있도록 활동 능력을 향상시킨다.

  • English

    The convergence of planning, production, and the demonstration processes for the Modern dance stage by students themselves as they go through all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will improve their abilities to complete their creative work as performing arts.

닫기
4/2학기 전선 4254084
현대무용공연실습7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7)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54084
  • 교과목명 : 현대무용공연실습7 (Modern Dance Performing Practice 7)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6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의 실제이다.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으로 결합시키는 제작 과정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폭넓은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는 실제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공연 예술을 구성하고 프로그램화하는데 다양한 접근법을 개발한다.

    • English

      The constructive practices of Modern dance performances. From the production process where the students combine pluralized artistic value into performances, this course aims to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and make them experience diverse stages. The students will develop various kinds of approaches for organizing and programming new performing arts by implementing practical approaches.

    닫기
3 0 6 상세보기
  • 국문

    현대무용 공연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의 실제이다. 다원화된 예술적 요소를 공연으로 결합시키는 제작 과정을 통하여 개인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키고 폭넓은 무대 현장을 경험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는 실제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공연 예술을 구성하고 프로그램화하는데 다양한 접근법을 개발한다.

  • English

    The constructive practices of Modern dance performances. From the production process where the students combine pluralized artistic value into performances, this course aims to enhance the practical abilities of individuals and make them experience diverse stages. The students will develop various kinds of approaches for organizing and programming new performing arts by implementing practical approaches.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